목록IT_JavaScript (12)
veggie의 기술기록
자바스크립트에서는 form에서 사용되는 양식들을 forms 객체에서 정의할 수 있다. forms 객체는 links, images 등과 같은 배열 형태로 document 객체의 하단에 존재하는 객체이다. ⊙ forms[] form의 구성요소처럼 폼 자체도 배열로 참조되어질 수 있고, document.forms[0] 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물론 배열로 참조된 폼 내에서도 elements[] 배열을 사용할 수 있다. document.forms[0].elements[1] 방식으로 접근한다. form에서 사용되는 양식들의 name을 정의해준다면, 자바나 자바스크립트에서 더욱 쉽게 접근 가능하다. 하지만 name을 정의하지 않았더라도 참조 가능하다. ex) =>document.forms[0] =>doc..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자바스크립트의 평가전략이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함수 호출의 아규먼트(argument)의 순서를 언제 결정하고 함수에 어떤 종류의 값을 통과시킬지 결정하는 것이다. Call By Value arguments로 값이 넘어온다. 값이 넘어올 때 복사된 값이 넘어온다. caller(호출하는 녀석)가 인자를 복사해서 넘겨줬으므로 callee(호출당한 녀석)에서 해당 인자를 지지고 볶아도 caller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ex) var a = 1; function b(c){ c = 2; } b(a); console.log(a); 위 코드의 실행결과는 2가 아닌 1이다. 왜냐하면 arguments로 a의 값인 1이 복사되어 함수 b의 매개변수로 넘어간다. 값을 복사해서 넘겨줬을 뿐이므로 call..
자바스크립트의 Parameter는 매개변수이고, Arguments는 실제로 넘어가는 실인자를 뜻한다. ex) var a = 1; function b(c){ alert(c); } b(a); 라는 코드가 있을 때, 함수b의 매개변수는 c이지만, 실제로 넘어가는 값은 a의 값인 1이다. 따라서 함수b가 호출되었을 때 찍히는 c의 값은 1이 된다. 이 때 c를 Parameter(매개변수), a를 Arguments(실인자)라고 부른다.
호이스팅의 개념 : 자바스크립트 및 액션스크립트 코드를 인터프리터가 로드할 때, 변수의 정의가 그 범위에 따라 선언과 할당으로 분리되어 변수의 선언을 항상 컨텍스트 내의 최상위로 끌어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오로지 변수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고 함수도 가능하며,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의 호출을 첫 줄에서 하고 마지막 줄에 함수를 정의해도 문제없이 작동되도록 하는 유용한 특성이다. 예시를 들어보자면 test(); function test(){ alert("test"); } 코드는 위에서 아래로 실행되는게 원칙이다. 하지만 test라는 함수선언식이 밑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호이스팅을 통해 test함수가 먼저 선언될 수 있다. 원리를 살펴보자. 자바스크립트 함수는 실행되기 전에 함수 안에 필요한 변수값들을 모..
var a = []; 로 선언 a.push('a'); 이런식이나 a[n] = 'a'; 이런식으로 값을 넣을 수 있다. 배열에 들어가는 값의 인덱스는 임의로 정할 수 없다. 들어가는 순서대로 0부터 자리가 정해진다. length 속성이 있어 배열의 길이를 이용할 수 있다. 객체는 배열보다 자유도가 높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var a = {}; 로 선언 하거나 var a = new Object(); 로 선언 할 수 있다. a[0] = 'a'; 이런식으로 직접 인덱스를 명시할 수 있다. 선언시 초기화하려면 a = {0 : 'a', 1 : 'b'}; 이렇게 원하는 인덱스로 초기화할 수 있다. 객체의 인덱스에는 문자도 올 수 있는데 a['다이어트'] = 'bad'; 객체 a의 '다이어트'번째에 'bad'라는..
폼 요청을 전송한후 응답을 받는 위치를 지정해주는 속성이다. form.target = 속성값; 이렇게 쓰인다. 1. _self: 응답을 현재 브라우징 컨텍스트 (, tab, window 등)에서 불러온다. 2. _blank: 응답을 새로운 브라우징 컨텍스트로 불러온다. 3. _parent: 응답을 현재의 브라우징 컨텍스트의 부모 브라우징 컨텍스트에서 불러온다. 만약 부모가 없다면 _self 키워드와 똑같이 작동한다. 4. _top: 응답을 최상위 레벨 브라우징 컨텍스트에서 불러온다. 만약 최상위 컨텍스트가 없다면 _self 키워드와 똑같이 작동한다.

크롬에서 폼을 submit시 나타나는 에러이다. 해당 에러가 나타난 경우는 form을 동적으로 생성했을 시 document와 연결되지 않아 나타나는 것이다. 폼을 선언하는 문장은 대부분 var form = document.폼이름 일 것이다. 해당 문장을 var form = document.body.appendChild(폼이름); 으로 고치면 연결이 된다.
폼태그 밑에 fieldset태그 안에 submit할 때 날릴 값들을 넣는다 input태그 등등 caption 태그는 테이블의 제목을 지정할때 사용한다 thead 태그는 테이블 머릿글 그룹을 지정할때 사용한다 tbody 태그는 테이블의 몸통부분이다 뿌려줄 데이터 부분이다
아이프레임은 HTML Inline Frame 요소이며 inline frame의 약자이다. 효과적으로 다른 HTML 페이지를 현재 페이지에 포함시키는 중첩된 브라우저로 iframe 요소를 이용하면 해당 웹 페이지 안에 어떠한 제한 없이 다른 페이지를 불러와서 삽입 할 수 있다. 출처: https://okayoon.tistory.com/entry/아이프레임iframe [Zzolab Blog :)]